[컬러리스트 기사] 3. 책 쪼개서 공부하다

2022. 12. 23. 16:45maeng grow

 

 

 

바빴던 졸업전시가 끝나고

여유롭게 컬러리스트 공부를 다시 시작해보려고 한다. 후후

 

컬러리스트 이론서를 사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책이 좀 두꺼운 편이다! 

나는 평소에 바리바리스타라서 노트북 파우치 등등 다 들고다니는데,

책 무게까지 더해지니 어깨가 너무 아픈것... (-。-;

 

이론서가 총 5섹터로 나뉘어 있길래 냅다 책을 5권으로 분권해버렸다.

고딩때 이후로 처음 분권해보는만 ㅎㅎ 무려 5년만이다.

 

 

 

오늘 공부한 섹터는 가장 익숙한 부분!

컴퓨터그래픽스운용기능사 필기랑 조금 겹치는 부분도 있고,

전공으로 쌓아온 잡지식이랑 교집합도 있어서 

가볍게 읽으려고 들고나왔다 (´ཫ`)

 

 

분권을 하면 가끔 칼이 울퉁불퉁 들어가서 낱장으로 흩어지는 경우가 있는데

두꺼운 마스킹테이프로 이렇게 마감하면 아주 깔끔하다~

다꾸하려고 사둔 마스킹테이프인데 이렇게 쓰이다니)

 

나는 책을 사자마자 인텍스 표시해서

공부량과 기간을 가늠하는데,

스스로 공부 계획 짤 때 유용하다!

 

오늘은 인덱스 2개만큼 공부해야지~ 하면서 공부함

귀찮은 날은 1개씩만 할 때도 있는데

안빼먹고 하는게 어딘가~.~ 

 

개인적으로 필기하면서 이론공부 하는 스타일이 아니라

정리해서 공유할 자료는 없지만,

당일 공부한 중요한 내용은 티스토리에 텍스트로 정리해보려 한다 헤헤 

구분선 아래에는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 둘것이니,

읽으실 분들은 읽으시라 

 

 


색채디자인의 이해/ 1. 디자인 개요

디자인의 정의&목적

 

디자인 정의

- 데시그나레(라틴어), 디세뇨(프랑스어), 데셍(프랑스어)에서 유래

- 단순히 미를 추구하는 것이 아닌, 미와 기능의 합일과 조화.

- 인간생활의 문제를 해결하기위한 창의적 과정

 

디자인 목적

- 산업혁명(판매를 위한 디자인) > 2차세계대전(생산을 위한 디자인) > 현재(소비자를 위한 디자인)

- 인간의 다양한 욕구와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

- 인간이 어떻게 하면 행복할 수 있는가?에서 출발하여 인간의 삶을 풍요롭게 하기위한 목적

-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활동

  기획적 활동(정신적 과정): 기획, 발상, 관리감독

  기능적 활동(실체화 과정): 지적 조형활동, 기술적 능력, 심미적 시각화

 

빅터 파파넥

- 20세기 디자인철학에 가장 큰 영향 미침

- 디자이너의 사회적 책임감 강조

- 디자인을 미와 기능으로 분리하지 않음

- 디자인의 6가지 구성

  방법: 도구 재료 작업과정의 상호작용

           (적절한 방법은 최적의 도구와 재료> 가장 저렴 효율적은 방법 선택 / 유리를 가장한 페이크 플라스틱은 오용의 예!)

  용도: 용도를 고려해 디자인 해야함 (잘 쓰러지는 물병 이딴건 쓸모 없어...)

  필요성: 인간이 진정 무엇을 필요로하는지 고려

  텔레시스(목적): 디자인의 지향점은 시대화 상황을 반영함

  연상: 디자인은  복잡한 연상기능 고려해야함

  미학: 즐거우면서도 의미심장한 즐거운 도구

 

순수미술&응용미술의 구분

- 순수미술: 비실용적/ 주관적, 자율적, 자기만족적 

  회화, 건축, 조각 (환조: 3D/ 부조: 벽과 같은 바탕으로부터 튀어나와 일부로 존재)

- 응용미술: 디자인같은 형태/ 사회의 요구범위 내에서 개인의 자유가 허용/ 대중의 만족이 중요한 조건

 

분야별 디자인의 의미

- 미술: 응용미술과 같은 영역

- 공학: '설계' 새로운 시스템 창안

- 건축&조경: '계획' 건물,공원조성 위해

- 자동차산업: '스타일링' 외관을 다듬음

- 마케팅: '가치창출' 인간삶에 유용한 제품과 서비스

- 기술분야: 문제 해결을 위한 프로세스

 


디자인의 방법&표현기법

 

관찰과 묘사

관찰

- 자연의 조형적 기초원리 발견: 유기적 기능적 아름다움의 관계 (시각관찰, 현미경관찰, 망원경관찰, 절단면관찰)

- 인간 문명의 발전과 경험: 색상 형태에 의미부여 / 조형을 정보전달의 수단으로 / 사실묘사 혹은 양식화된 표현 

- 직관과 미세관찰: 고정관념 버리고 미세관찰> 평상시에 못느끼던 신선함 발견

묘사

- 원근: 관찰과 묘사로 조형의 질서와 법칙 파악> 입체적 구조 등 파악 가능

- 묘사의재료:

- 정밀묘사: 표현방법에따라 점묘,선묘로 나뉨/ 표현재료에 따라 채색화, 펜화, 연필화로 나뉨 

 

디자인의 과정

- 기능적 활동에서의 디자인 과정:  욕구> 조형> 재료> 기술

- 기획적 활동에서의 디자인 과정:  문제인식> 자료수집> 자료분석> 평가

 

아이디어 발상법

-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 오스본이 고안한 방법

- 시네틱스(Sysnetics): W.고든이 고안한 방법 / 디자인문제 탐구&변형을 위해 관계가 없는것을 결부시킴

- 체크리스트(Checklist): 오스본 고안/ / SCAMPER 라고도 함/ 문제해결을 위한 체크리스트 작성>아이디어 발상

  S substitute(대체하면)

  C combine(결합하면)

  A adapt(응용하면)

 M modify, magnify, minimize(변경,확대,축소하면)

 P put to other uses(다른용도로 사용하면)

 E eliminate(제거하면)

 R reverse, rearrange(재배열하면)

- 마인드맵(Mind map): 토니 부잔 고안 / 

 

디자인 관련 용어

- 키치

- 티저광고: 소비자의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려고, 메세지를 단계별로 노출

- 리스타일링

- 아방가르드: 혁명적 예술경향(원래 군사용어) / 유행색 보다 앞선 색채 사용

- 안토니오 가우디: 아르누보의 화려한 장식을 사용한 스페인 건축가

- 맥킨토시: 직선적 아르누보 창시자/  아르누보의 화려함을 직선으로 정리했다.

- 합리주의

- 절대주의: 봉건제에서 자본주의로 이행하는 과도기에 출현한 정치형태

- 피터 베렌스: 최초 CI(corporate identity) 개념 도입

- 헨리 반 데 벨데: 아르누보>모던 디자인 전개를 위해 노력한 벨기에 건축가/ 작가의 예술성과 개성 주장

- 데포르마시옹:  대상을 충실히 재현하는 것이 아닌, 왜곡하여 작가의 의도를 저나는 미술화법

- 앙리마티스: 야수파의 지도자, 원색, 보색관계를 이용한 색면효과(채도▲)

- 플럭서스: 독일 중심의 전위예술운동/ 회색조의 어두운 톤/ 끊임없는 변화, 움직임을 뜻한다.

- 프로타주: 마찰하다 라는 의미, 요철의 표면을 문질러 내는 질감효과

- 데칼코마니

- 콜라주: 큐비즘에서 시작된 표현기법

- 오브제: 자연적 재료와 공업재료를 조합시켜 새로운 환상과 잠재욕망을 시각적으로 표현

- 리디자인: 기존의 재료 기능 형태 개선하여 디자인

- 모아레: 인쇄시 점들이 뭉쳐진 형태/ 핀트가 잘 맞지 않았을 때 일어나는 눈의 아른거림 현상

- 에코디자인

- 디자인 컨버전스(Design convergence): 컨버전스는 '집합'이라는 뜻/ 하나의 기기-서비스에 모든 정보통신 기술 융합 현상

- 팁온 광고: 인쇄광고에 견본을 부착하여 배포하는 광고. 특이한 소재가 부착되어있는 잡지 광고를 말함

- 페미니즘

- 해채주의

- 랜드마크: 멀리서도 위치를 알 수 있는 그 지역의 상징물

- 슈퍼그래픽: 1960미국에서 시작/ 캔버스의 회화미술이 미술화랑으로부터 벗어나 옥외, 큰규모 공간을 꾸밈

- 유비쿼터스: 어디서나 인터넷 접속 가능한 정보통신환경

- 포토리얼리즘: 1960후반 추상주의의 영향/ 뉴욕과 서유럽을 중심으로

- 크래프트디자인: 수공업의 장점을 살리되, 예술작품처럼 한 점만 제작하는 것이 아닌! 어느정도 양산이 가능하도록 설계하는 생활조형디자인의 총칭.